공지사항
하이브리드 직병렬시스템, 시내에서 서킷 돌 것도 아니고...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전기차 느낌 나는 하이브리드 직병렬 시스템이 유행이다.
오히려 충전의 용이함을 무기로
전기차보다 직병렬 하이브리드가 더 낫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다.
연비는 논외로 하더라도,
정숙성이나 편의성 면에서 어찌보면,
하이브리드 직병렬이 전기차만큼 하거나 더 좋을 수 있는데,
그래도 뭔가 약점이 있으니, 중국에서는
경고 3초 만에 '쾅'…샤오미 전기차 사망사고에 중국 충격 : 네이트 뉴스
불이 남에도, 전기차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바로 직병렬의 약점은 모터 위주의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
엔진 위주의 직병렬도 있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달릴 곳이 없는 곳은
'서킷 달릴 것도 아니잖아'
이 말 한마디에,
모터 위주의 직병렬 시스템이 수입되고 있다.
이게 모터로 주로 구동 되니, 정숙성 면에서 좋기는 하나,
전기차 또한 엔진 소리가 안 들리니, 다른 소리 때문에 시끄럽다는 의견이 나오는만큼,
노면소리, 풍절음, 기타 잡소리를 제어 하지 못했다면,
조삼모사다.
사실, 엔진이 개입 되는 병렬형 시스템을 까는 분들이 계시는데,
이 분들은 나중에는 에어컨 소리도 시끄럽다 할 사람들이다.
고속 환경에서는 엔진이 힘을 많이 쓰니, 시끄럽다?
기어 방식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분이거나 애써 외면하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모터의 장점은?
순간 높은 토크!
약점은?
낮은 출력!
기어가 있는 것은 적은 힘으로라도 더 빠른 회전을 하기 위함인데,
모터는 오직 모터 자체의 회전에 의지 할 수 밖에 없었고,
무변속이라는 장점을 가질 수도 있지만,
속도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나 중저가의 직병렬은 이론 상으로는 모터와 엔진을 합치면
출력이 으마으마 해도,
모터 위주의 직병렬 시스템은 엔진을 거진 안 쓰기에,
걍 모터가 진짜 출력이라 보면 된다.
이렇게 따진다면, 실제 출력은 170으로 아반떼보다 좀 낫다라고 보면 된다.
치고 나가는 것이 빨라 시내에서는 장점이잖아욧!
끼어들기 위반 찰칵!
병렬형 하이브리드는 끼어들기 못 해서 안 하는 것이 아니라,
귀찮아서 안 하는 것이다.
아니, 마력을 왜 따져욧
차피 대한민국은 달릴 곳 도 없고 막히는뎃!
네, 그러니까,
추월 할 거 아니면, 1차선은 비워주세요.
"차값은 하락하지만, 부품값은 똑같다."
차의 가치를 매기는 것은 누가 뭐래도 본인이다.
하지만, 그 비싼 차가 중고차 시장에서 눈에 띄게 싸다면,
앞으로 멀쩡하게 타기 위해 뭔가 부품을 교체해야 한다는 의미이고,
그 비용이 크다는 것이다.
모터, 배터리 vs 엔진 계열
어느 것이 교체 비용이 클까?
갠적으로는 직병렬 시스템은...
우리나라에 버리는 끝물 같다는 느낌이 강하다.
영하 10도서 10분 만에 완충…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등장 < 뉴스위드AI < 모빌리티 < 기사본문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