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구글브로거 opengraph 각 게시글 설명글 활성화 코드(seo 최적화)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opengraph는 몰라도,
meta는 알 것이다.
페이스북 로딩 때 하단에 나오는 것이니.
meta란,
seo에 중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xehostel.blogspot.com/2024/05/blog-post_13.html
본인 웹페이지의 프로필을 여러 검색엔진이나 sns에 뿌리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우리 구글 브로거는
뿌리기는 뿌리는데,
이상하게 설명글만은 대표 설명글만 뿌린다.
그래서 한동안 자바스크립트로 동적으로 내용을 바꿀까 하여, 코드를 짰었는데,
돌아오는 것은,
1. meta는 <head>안에 있어야 하며, html 형식으로 작성해야 한다.
는 것이다.
.
.
.
그래서 포기 하던 찰나,
순간 빡쳤다.
그래서 구글 브로거 탬플릿 코드를 처음부터 읽어본다.
보통은 페이지가 로딩이 되었을 때, 해당 엘리멘트를 읽어 그 위치를 가늠 해 보지만,
구글 브로거는 불러오는 형식이 강해 걍 읽어본다.
읽을 때는 그래도 나름 체계가 있음으로 파트별로 읽으면 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style, skin, 기능
그러다 하나의 코드를 발견한다.
<b:include data='blog' name='all-head-content'/>
이 코드를 지우니, opengraph가 활성화 되지 않았다.
고로!
우리가 meta를 직접 작성하면 우리가 원하는 opengraph가 완성 되는 것이다.
근디, 여기에서 또 문제인게,
각 게시글 설명을 긁어와야 하는데,
방법을 알게 되니, 또 귀찮아졌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방안을 2가지 제시 한다.
1. 필자가 말한 코드 하나 지우고, 직접 meta코드를 작성하는 방법!
2.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인 '검색 설명'을 이용하는 방법!
그렇다.
구글 브로거는 글 작성 시 오른쪽에 검색설명이라는 기능이 있다.
여기에 150자로 요약하는 글을 긁어 넣으면?
각 게시글의 meta 설명글이 작동하는 것이다.
.
.
.
그런데, 이제와서 일일히 다 열어 검색설명을 집어 넣는다?
그것도 그것대로 귀찮다.
내가 작성 한 글의 앞단을 무지성으로 긁어서 막 뿌리는 것보다는 낫지만,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