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북마크 입니당 >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어디서 사용 할 수 있을까?

 민생회복 소비쿠폰,

말이 어렵다.

그도 그럴 것이 바로 지역화폐라는 개념이 이미 있고, 실행 되고 있기에,

중복성을 피하고, 그리고 있어보일려고, 말을 꼬아 놓은 것이다.


지역화폐란?

포항, 울진, 영덕 대게 홍게 5%~ 최대 10% 할인 해주는 카드, 회도 포함

지역의 시장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 지역민 여부와 상관 없이,

약 10% 할인하여 그 지역에서 쓸 수 있는 상품권을 발행 해 주는 제도 이다.


그에 반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그 지역민에게만 발행되며, 그 지역에서만 쓸 수 있도록 만든 쿠폰이다.


전자가 지역(지방)을 살리는 정책이라하면,

후자는 각 지역을 살리는 정책이다.

(인터넷으로 구매하지 말고, 직접 그 지역에서 구매하거나 안 되면 배달이라도...)


이런 말이 있다.

이재명을 뽑지 않은 사람들은 받지 말라고.

그럼, 이런 반문이 가능하다.

그럼 내가 낸 세금 내놔!

특활비 부활에 국힘 “위선의 극치” 민주 “소명·증빙할 것”|동아일보

윤석렬 때는 필요없다 깍았던 세금을, 더불어 지들이 사용 할 때는 부활 시킨다?

더불어 너거들 내란에 쓰인 비용보전에 왜 내 세금을 사용하느냐?


지역화폐든 소비쿠폰이든 취지는 괜찮다.

하지만, 이것으로 소비진즉에 도움이 된다고는 쉽게 단언하기 힘들다.

나도 지역화폐 썼었다.

카드도 되니, 충전만 하면, 10% 할인이 되고, 좋았다.

그런데, 나중에는 충전하는 것도 귀찮고, 사용처도 제한이 되다 보니,

걍 잊고 지내고 있다.(여전히 카드는 사용 중이지만, 충전은 안한다.)

사용 가능 한 곳(10% 할인 되는 곳)을 찾아 꾸역꾸역 쓰는 것보다,

인터넷이 훨 싸고, 편하고, 여기다 회사카드가 있으니,,, 굳이 내 카드 쓸일도 없...


소비쿠폰은 안 쓰면 없어지니,

지역 소비 증진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원래 장사가 잘 된 곳만 잘 된다.

민생이 어렵다.

자영업 소상공인이 어렵다 말들이 많은데,

그 속에서도 장사 잘 되는 집은 잘 된다.


아, 꽁돈 생겼으면, 원래 입지 못 한 것, 먹지 못 한 것을 사야지~라고 생각하지,

아, 평생 가지 않았던 전통시장 가서 봄나물이나 사야지 이런 생각을 잘 안 한다.


사용처가 제한되어 있잖아요.

그래도 그 호텔경제론에 따라 지역 경제는 돌아갈거에요.

원래 써야 했었던 돈을 대신 해 쓰거나,

사치품에 쓰는데, 뭔 지역이 되살아나?

망하는 사람은 걍 망하는거지.


그리고 그들은 꾀 없나?

온 나라에 눈 먼 돈이 돌아다니는데, 일시적으로나마 가격 올리지.

대출한도 확 줄고, 금리는 뛰고…주담대 받기 더 어려워진다 | 한국경제

정부에서 대출한도를 제한을 한다면, 은행이 ㅠㅠ 할 줄 알았나?

가상금리 올려서 본래 수익을 보전 할려고 하지.

사람이 눈 앞에서 죽어나가도, 한판 더를 외치는게 사람이다.
정은경, 남편 '코로나 주식' 투자 논란에…"잘못된 내용 많다" | 중앙일보

그 코로나 때도, 영웅으로 생각 되었던 그녀의 가족조차도 돈 벌 기회로 삼았는데,

우리 서민들은 그런 생각하면 안 되나?

100억 빚 지는 것이 쉬운 줄 아나?


대통령 특활비? 시크릿 쌈지돈.

왜 필요하겠는가?

더불어가 내란을 일으켰을 때 도와주었던 보은 위해 필요하지 않겠는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왜 돈을 찍어내겠는가?

유통하고 관리하고, 배급하고, 누가 하겠는가?


다들 지들 이익 땜시 하는거지...


그렇다면, 어디에서 사용 할 수 있는가?

일일히 전화 거는 것도 거시기 하고.

뭐, 대기업, 프렌차이즈 직영점 등은 안되고 소상공인에만 쓸 수 있다는 것은 아는데,,,

간단하다.

지역화폐 받던 곳이나 가맹점을 조회하면 된다.

발급처나 범위만 다르지, 취지가 같으니, 사용 할 수 있는 곳도 지역화폐와 겹친다.

따라서 민생회복 소비쿠폰에도 가맹점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각 지역 지자체 홈페이지나 카드앱 등을 참조하면 된다.

편의점에도 쓸 수 있고, 주유소에서도 쓸수있고,

책에다 쓰던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다이소에서 많이 쓸걸?

더워 죽겠는데, 시원한 다이소에 가는게 맞지 않아?

다이소 살리는게 민생회복인가???

아니면, 편의점?

농협?

댓글

7일동안 많은 클릭!!!

태양광 일조권은 '기대권'이 아니라, '현실권'이다. feat 건축법 일조권 개정

탁류~옛부터 중간 관리자와 그에 빌붙어 농락하는 넘들이 문제다.

UPS(무정전전원공급장치) 화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유행하는 프로그레스바(그로우링, 오라, 물채움) etc

재생에너지(태양광) 입찰제에 대한 회의(출력제어 제로화? 글쎄...)

태양광 시스템(수배전반) 켜고, 끄는 순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