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태양광 인버터 모듈 직병렬의 의미, 이게 기사 시험에 나오는게 의미가 있는지 모르겄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인버터 모듈 직병렬에 대해서는 일전에도 다룬 적이... 많다!
어려운 것은 없는데,
왜 이리 계산 하는지 모르고 접한다면,
실무에 있어 어려움은 없다.
(차피 정 모르면, 각 담당자에게 뽑아 달라하면 되니...)
그런데, 어찌 되었건, 인버터를 무엇을 쓰느냐 결정하는 위치에 있는만큼
본인이 직접 직병렬을 짜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이게 mppt수에 따라 인버터가 왔다갔다 해서,
마냥 용량이 크다해서 되겠지 하고 선택하면,,,
인버터 한대가 왔다 갔다하는 수가 있다.
(물론 인버터 한대 더 놓으면 좋기야 좋지... 발전주 입장에서는)
모듈, 반도체는 온도에 민감하다.
그래서 기준이 모호 할 때가 있다.
난 해당 방위각에 따라 발전 최고점 시간도 달리보고, 그 때 온도도 달리보는데,
이 정도는 너프하게 봐야하지 않을까 싶지만,
담당자마다 견해가 다르면, 가능 직렬 범위가 달라진다.
우리나라 날씨야, 추운 것은 신경 안 쓰이는데, 더운 것은 신경써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직병렬을 짤 때 고전압에 주의를 기울인다.
voc?
vmp?
voc는 과전압이다.
막 전류를 쑤셔 넣는데, 잘 안 들어가진다?
그럼 전압이 올라가는 것이고,
온도가 내려가면, 반도체 특성 상 더 심해진다.(도체의 경우 반대로 온도가 상승하면 혈압이 올라간다.)
그럼 주로 언제 혈압이 상승할까?
한 여름에 무덥고 한창 태양광이 막 도는 날?
아니다.(DC 계통에서는)
과부하 상태 일 때?
맞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DC 계통에서는)
아니다.
추운날 새벽 인버터가 꺼져 있다가,
갑자기 켜질 때 무부하 상태 일 때다.무부하란?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 non 어쩌구 저쩌구 하던데,
여튼 그렇다.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태양이 뜨고 순간 과전압이 걸리는 것이다.
그래서 직렬을 타이트하게 걸게 되면, 온도고 뭐고 아사리판이 펼쳐지는 것이다.
vmp는 모듈이 정상적으로 작동 할 때 온도고.
온도가 높아지면,
전압이 낮아지니,
직렬을 너무 낮게 잡으면, 자칫 발전량이 줄어든다.(전압강하)
그런데, 요즘 인버터들은 무슨 근자감인지,
mppt 범위를 200으로 잡고 있다.
이러면, 저전압 설계가 가능 해 지기는한데,
개인적으로는 500대 mppt 세대로서 못 미덥다.
뭔, 근거 자료를 요청해도, 주는 곳은 잘 주는데,
영업만 하시는 분들은...
업무 협조가 안 되니,
내가 아는 선에서 잘 되는 업체를 선택 할 수 밖에 없다.
여튼, 세월이 지남에 따라 인버터 회사에서 mppt 전압 범위를 넓게 잡는데,
아직까지 기사 시험에 직병렬 구하는 문제가 나와야 할까 의문이 든다.
어려운 것은 아는데,
마냥 고압 위주로 직병렬을 짠다고 해서 좋은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안전빵으로 저압으로 한다고 한들,
효율도 떨어지는데, 인버터 회사에서는 괜찮다고 하니,
스스로 기준을 세울 수 밖에 없다.
책임 지기 싫으면, 각 담당자에게 자문을 구하던지.
이게 100kw 처럼 작은 것이면 직병렬 조합이 쉬운데,
mw급이면,,, 어질 어질 하지.
나조차도 프로그래밍 해서 조합을 짜는데,
이 것을 종이와 펜만으로 해라?
겉핥기 식으로 하라는 거지. 뭐.
태양광 과전압 경고 문구 원인과 해결방법을
태양광 인버터 고장 overvoltage(과전압) 원인과 해결방안 feat 고혈압
작성한 적이 있는데, 요것은 DC계통이야기고,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AC계통이야기는 추후에 언급하자.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