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태양광 부착형(BAPV)과 일반 구조물 태양광의 장단점 비교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제는 하다하다 태양광 구조물까지 그리고 있다.
(어? 이건 내 계획에 없던건데????)
확실히 직접 그려야,
각 자재의 의미, 의도 등을 파악하는데 편하다.
다른 태양광 구조물이야, 인터넷에 널려 있으니, 참조하면 되고,
자재 두께? 선정?
인맥이 있으니, 쉽게 해결 된다.
믿고 거래하는게 신념인데, 어느새 직접 내 일이 되고 나니, 간섭하는 빈도도,
선정 할 수 있는 업체 범위가 넓어진다.
그에 반면 걸러 내야 할 업체도 눈에 쉽게 보이고 말이다.
에이 안되여~
이 프로젝트에서는 되던데요???
...
아니면, 제가 직접 구조검토 받아 올까요?
근디, 진짜로 이리 되면, 다음에 서로 보기에 민망 해 지지...
여튼 그렇고,
BAPV란 지붕이나 벽 등에 태양광을 부착시키는 형태다.
BIPV와 BAPV란 뭐고, 무슨 차이가 있는가?(건축)
BAPV의 장점은
1. 겉으로 보기에 깔끔함.
2. 후사면 음영 걱정 없음
3. 구조물 아낄 수 있음.
4. 그 만큼 하중부담 적음
이것이 일반 구조물과 비교 해서 장점이다. 반대로 일반 구조물에는 단점이 되는 거고.
BAPV의 단점은
1. 먼지 등에 취약하다.
2. 유지관리자가 모듈 위를 막 밝고 다닌다.
3. 모듈각이 부적합 한 경우가 있다.
4. 열 관리에 취약하다.
이 BAPV의 단점은 일반 태양광구조물에서는 장점으로 작용한다.
서로 비교니까...
지붕각이 바람직한 태양광 모듈각과 일치하면 좋겠지만, 대부분 그리 안 되니,
구조물로 세우는 것이다.
물론 후사면에 더 배치 하기 위해서,
일반 태양광 구조물도 내려가는 지붕 각도에 맞춰 배치하는 경우가 있지만,
구조물 아끼거나, 구조검토 상 이상이 없다면, 일반 구조물이 여러 면에서 낫다.
BAPV가 처음에는 깔끔해도,
주변에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는 금방 더러워진다.
더군다나 관리 안 하면, 설치자나 유지 관리자가 모듈 위를 막 밟고 다니는데,
이것이 어쩔 수 없는 것이, 들여보기가 힘드니,
간혹 접지를 많이 빠뜨려 먹기 때문이다.
당장은 위험하지 않아도,
혹 사고가 일어 난다면?
태양광 절연저항과 접지저항의 차이 with 미국 LA 시위(시위? 폭동? 테러?)
재산 상 인명 상 사고가 터지는거지.
야... 모듈 한장이 끽해야 35KG인데,
보강이 이게 맞냐????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