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코드를 집어 넣었는데, 작동을 안 할 때(페이지 로드 후 코드실행)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C언어와 같이 절차형 코드는 차피 쓱 써 내려가야지만,
엄밀히 따지면,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도구임이 맞는데,,,
어떤 ai을 쓰느냐에 따라 대답의 '질'이 달라지니, 말이다.
자바와 같이 모듈화 된 코드는 작성 해 놨다가,
필요 할 때 마다 다시 가져오면 된다.
HTML에는 자바스크립트라는 프로그래밍이 쓰인다.
젠체하는 녀석들은 HTML이 무슨 프로그래밍이냐 하겠지만,
정보처리기사 1급인 나는 굳이 구분 할 필요가 있는가 싶다.
HTML에서 특히 발생하는 문제가,
이 모듈화 된 코드를 집어 넣는 과정에서 순서가 맞지 않아 코드가 작동이 되지 않는다.
는 것이다.
이는 페이지가 한번 로드 되어, 화면을 보여주는 정적인 특성이 강한 HTML의 특성탓이라.
해결방안은 간단하다.
기능 역할을 하는 자바스크립을 다 위로 올리는 것!
그럼 페이지 로드와 상관 없이 동적인 코드를 구현 가능하다.
근디, 코드가 작동 할지도 안 할지도 모르겠고,
'골격'과 '기능'을 한 곳에 배치하고 싶어요. 라는 사람들이 있다.
아무래도 그래야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편하고, 지우거나 잠시 기능을 멈출 때 편함에 그 원인이 있음이라.
그럼 다음 2가지 방안이 더 있다.
- DOMContentLoaded 이벤트 사용: HTML 문서의 모든 요소가 로드되고 해석되면 DOMContentLoaded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이 이벤트가 발생하면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 이 곳에 실행할 코드를 넣습니다.
});
- load 이벤트 사용: 페이지의 모든 리소스(이미지, 스타일시트, 스크립트 등)가 완전히 로드된 후에 load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javascriptwindow.addEventListener('load', function() {
// 이 곳에 실행할 코드를 넣습니다.
});
이벤트 리스너를 추가한 후에는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실행할 코드를 넣으면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첫 번째 방법인 DOMContentLoaded 이벤트를 사용하여 페이지가 로드된 후에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합니다.
두 코드의 장단점과 차이점은,
1. DOMContentLoaded 이벤트:
- 발생 시점: HTML 문서의 모든 요소가 로드되고 해석된 후에 발생합니다. 이는 외부 리소스(이미지, 스타일시트 등)가 로드되기 전에 발생합니다.
- 장점:
- DOM 구조가 준비된 후에 실행되므로, DOM 요소에 대한 조작 및 이벤트 처리 등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외부 리소스가 로드되기 전에 실행되기 때문에 페이지 로드 속도가 빠릅니다.
- 단점:
- 이미지, 스타일시트, 스크립트 등의 외부 리소스가 아직 로드되지 않았으므로, 페이지가 완전히 로드되기 전에 실행됩니다.
- 페이지의 모든 리소스가 로드되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 리소스에 의존하는 작업을 할 때 이벤트 리스너 내에서 추가적인 로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load 이벤트:
- 발생 시점: 페이지의 모든 리소스(이미지, 스타일시트, 스크립트 등)가 완전히 로드된 후에 발생합니다.
- 장점:
- 페이지의 모든 리소스가 로드된 후에 실행되기 때문에, 외부 리소스에 의존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유용합니다.
- 페이지의 모든 요소가 로드된 후에 실행되기 때문에, 완전히 로드된 페이지의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모든 리소스가 로드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DOMContentLoaded 이벤트보다 늦게 실행됩니다.
- 모든 리소스가 로드된 후에야 실행되기 때문에, 페이지의 로드가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페이지의 로드 상태에 따라 실행 시점을 선택하고, 실행해야 할 작업에 맞게 이벤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다.
요즘 개발자들이 똥줄이 탄다.
chatGPT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웠다고 하니까,
그게 무슨, 프로그래밍 언어냐고 한다.
엄밀히 따지면,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도구임이 맞는데,,,
속까말 왠만한 개발자보다...
아니다.
전문가는 전문가로서 존중 해 주자.
어떤 ai을 쓰느냐에 따라 대답의 '질'이 달라지니, 말이다.
코파일럿은 코를 파나... 쌉소리만 하고,
제미나이는 숨김없이 제대로 된 대답을 한다.
이번에는 '나거한'에 대해 물어볼까?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결국 원인은 생존을 위한 항상성 때문이라고 하는데... (xehostel.blogspot.com)
전체적으로 이 나라는 코드를 다시 짤 필요가 있다.
제대로 로드 되는 것이 하나도 없다.
댓글
7일동안 많은 클릭!!!
이 곳에 소개 된 것들은 모두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click!
트리아지x~ 다시보기, 이거... 야애니 아님???
태양광 표준시설부담금 쉽게 계산하는 방법 그리고 산출 근거(설계조정시설부담금 이야기)
표준시설부담금이란, 기본시설부담금 + 거리시설부담금이다. 공사 발생 유무와 관계없이, 내역에 관계없이, 태양광의 kw당 책정 되는, 다른 말로 인입비라고 보면 된다. 일전에도 다룬 적은 있다. 한전불입금==한전표준시설부담금 계산하는 방법 아주 기본적인 내용이기도 하고. 하지만 달라진 내용이 있다. 설계조정시설부담금 이전에는 1mw 미만의 태양광발전소에 대해서는 설계조정시설부담금을 받지 않았으나, 이번에 산업통상자원부의 승인으로 작은 용량의 태양광발전소도 설계조정시설부담금을 받기로 했다. 즉, 접속공사비라는 명목하에, 표준시설부담금만 받아왔지만, 공동배선에 신설, 증설, 변경 등의 내용이 있다면, 설계조정 했다하여, 받아 내겠다는 의미. 한전에서는 계통 여유 용량도 없는 곳에 억지로 하지말고, 여유 있는 곳에 하라는 의미라고 한다. 쨋든 설계조정시설부담금이야, 한전이 현장에 나가보고, 설계에 임해야 알 수 있는 것으로, 우리가 이것은 예상 못하더라도, 최소한 표준시설부담금은 제일 위 상단처럼 계산 가능하다. 기본시설부담금 + 거리시설부담금 . . . 어려우면, 걍 한전ON | 표준시설부담금 계산 계산기 써라! 이러한 계산이 필요한 이유는 사업성 검토와 계약 때문이다. 이게 한두푼 하면, 걍 내면 되는데, 90kw만 해도, 1천만원은 걍 우습다. (일단 1천만원부터 시작하겠다는 의미) 어? 고압은 500kw인데도, 싼데요? 아... 완전 초보구나... 왜 저압과 고압이 차이가 나는지, 곰곰히 생각 해 보자. 쨌듯, 그럼 한전 인입비는 이걸로 계산 끝난거죠? 지금까지 계산한 것은 접속공사비고, 다른 공사비도 필요하다. 그 것은 찾아봐... hint/ 송배전용전기설비 이용규칙. 만들어서 먹여주는 것은 쉽다. 하지만, 진정한 교육은 방향만 가르쳐주는 것이지, 대신 걸어주는 것이 아니다. 엠비씨, JTBC, 한겨레, 경향신문 등 언론이 가리고, 편향적이고 현혹해서, 방향과 방법을 알려주는 것 일뿐. 사실, 나는 행정학과 출신임에도 전한길 저 분은 본적이 없다....
하이브리드 12v 배터리 교환주기, 방전 되어 문이 안 열릴 때 대처방안
추억 돋는다. 이 납산 배터리, 독립형 태양광이라 해서 사용되기도 하는데, 요즘은 쫌 바뀌었을라나??? 태양광 독립형 인버터와 역전력계전기란 무엇인가? (xehostel.blogspot.com) 님 차가 하이브리드고, 본넷이나 트렁크를 열어봤는데, 이 배터리가 까꿍하고 보인다? 그럼 님 것은 최소 21년 전에 만들어진 하이브리드다. 상식적으로, 용량이 큰 고전압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굳이 이 무거운 12v 납산배터리를 사용 할 필요가 있을까? 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최신 하이브리드는 통합형이라하여, 고전압배터리에다 저전압배터리를 같이 붙여놓았다. 그래서 님 차가 만약 최신 하이브리드라면, 12v납산 배터리는 없다. 참 추억 돋는다. 그래도 단골 집이라고, 꾸역꾸역 영덕읍에서 영해면으로 이사 간 카센터 쫒아가서, 배터리를 갈았었지, 같은 영덕이라도 영해까지는 30분거리가 가기 쉽지 않은 거리인데, 한동안 엔진오일 갈지 않아 삐지셨는지, 좀 과하게 받더라...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드리기는 했지만, 그 이후 다시는 영해쪽으로 가지 않... 이제는 이런 걱정 할 필요가 없다. 10년, 20만kw 보장이다. 거의 영구적으로 작동 할 것을 목표로 만든 것이기에,,,, 님은 자동차 40만 타잖수... 아... 차피 거기, 하이브리드 만지지도 못함. 솔직히 하이브리드로 바꾼 이유도 수리비로 덤탱이 씌우는 사람, 책임지지 않는 사람, 능력 안 되는 사람들 많아서, 이 차 고장나면 바로 전기차로... 여튼, 최신 하이브리드에는 리튬이온저전압배터리가 장착 되어 있는데, 거진 이 배터리는 차량 시동, 유지관리에 사용된다 보면 된다. 왜 바로 고전압배터리를 사용 안하냐는 질문에, 왜 나선을 사용하지, 콘센트로 사용하냐고 답변하고 싶고, 사실, 예전에도 납산배터리를 고집한 이유는, 아직 실험 단계라 미쳐 적용하지 못 했다고 답하고 싶다. 즉, 이 배터리 전후로 같은 하이브리드라도 기술적으로 조금 많이 차이가 있다라 할 수 있다.ㅋ 이 리튬이온배터리는 방전 되지...
캐드 객체 선택이 안 될 때(풀릴 때), 명사/동사 선택
버튼을 잘 못 눌렀는지, 단순한 오류인지. 본디 캐드는 마우스를 드래그 하면 객체가 선택되고, 명령어만 넣으면 실행 되어야 한다. 근디, 그런데도, 명령어를 넣은 뒤 다시금 객체를 선택해야 하는 오류가 발생했다. 귀찮더라도 명령어를 넣고, 선택 후 엔터를 하면 되기는한데, 그래도 이왕 고칠 수 있는 거 고치는 것이 좋다. 바로 '제도 설정'의 옵션에서 '명사/동사 선택'을 체크하면 된다. 상단의 도구 탭에 제도설정에 들어가도 되고, 아니면 명령어로 op를 넣으면 된다. 비록 내 캐드는 동적 입력이 안되지만,,, 지난 게시글에서처럼 또 어디 숨겨놨을 개연성이 조금은 있다. 참, 클립보드에서 붙여 넣는 것은 OLE로 인식하고, 걍 바탕화면에서 끌어다 넣는 것은 레스팅이미지로 인식하니,,, 이것도 주의하자. 중학교 때 모눈 종이에 제도 샤프라 해서 그림 그릴 때가 낭만 있었는데, 아쉽다. 그 때 빼고는 더 이상 배우지는 않았었지... 마치 주판 세대 때 주판이라고 할까나. 손으로 직접 하면 당연히 되는 것인데, 기계로 하면 어렵게 돌아가야 하니, 불편 할 수도 있다. 대화형 AI 종류 및 추천 (xehostel.blogspot.com) ai가 있기전까지는. 물론 ai가 부족한 점은 있다. 아직까지는 걸러야 할 부분이 있기는 한데, 적중률이 높을 때는 인터넷 뒤적거리는 것보다는, ai가 그 어떤 메뉴얼보다 빠르고 쉽게 알려준다. 다만, 너무 맹신만 하지 않으면 된다. 좀 더 검색 단어를 바꾸며, 뒤지면 더 좋은 결과를 찾을 수 있다. 그 전에 빠르게 해결하는데는 ai가 갑일 뿐이지.
youtube vanced, '최신버전에서 시청하기 바랍니다.' 오류 해결하는 방법(2023)
유튜브밴스드라는 어플이 있다. 유튜브 백그라운드 재생 어플~그니까 데스크탑모드 이딴 거 아님. (tistory.com) 그러다 모종의 이유로 더 이상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다. 사용은 가능 했었다. 지금도 잘 사용하고 있고, 그러던 어느날! '최신버전에서 시청하기 바랍니다.' 라는 오류를 보게 되었다. 드디어! 올 것이 왔구나! 포기 할려는 찰나... 그래도 한번 더 서칭을 하기로 하였다. 그랬더니, 다음과 같은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1. 로그아웃 한 다음 어플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실행하기 2. 최신버전을 새롭게 설치하기 이왕 이렇게 된 거 최신버전을 새로 깔기로 한다. 최신 버전이 있었어???? 공식적인 것은 아니지만, 있기는 있었다. GitHub - cuynu/ytvanced: YouTube Vanced & Vanced MicroG & YouTube Music Vanced Unofficial (non-profit) 설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자신의 버전에 맞는 어플을 설치하면 된다. 이제 다시금, 유튜브 프리미엄기능을 무료로 마음 껏 사용 할 수 있다.
2023년 하반기 태양광 고정가격 평균 가격, 상한가격과 얼마나 차이가 날까?
아무도 다루지 않아, 내가 다룬다. 그도그럴 것이 이번 선정결과 경쟁률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신재생에너지 관리공단에서 혼자서 경쟁률 이 ㅈㄹ하며, 섀도우 복싱을 하고 있다. 나지막히 '접수용량이 공고용량보다 적어 경쟁률 1,1:1이 되도록 선정' 이 무슨 해괴망측한 일이더냐 이제는 보기에 안타깝다. 본인들 제도가, 본인들 가격이, 시장에 맞지 않으면, 조정을 해야 되는데, 1,000,000kw 중 65,754kw만 접수했다는 것은 0.06도 안 된다는 것인데... 본인들만 적절 가격이라 우기고 자빠지고 있으니... 얼마나 안쓰럽고, 안타까운 일이 아니하겠는가. 여튼, 이번 입찰가격의 상한가격은 153원쯤 된다. 2023 하반기 태양광 고정가격 계약 단가 정리(음... 건축물 위는 강추!!!) (tistory.com) 그럼 이번 실제 입찰 된 평균가격은? 151? 150원 대이다. 한숨이 나온다. 그렇지 않아도, 미달 되는데, 꼭 반평균 까먹는 ㅄ들이 있다... 3원이나 깍아먹냐... 아니, 지금도 220원 하는데, 150원 만족하냐? 태양광 장기계약 해지 위한 소송 움직임…갈리는 업계 시각 < 전력 < 에너지Biz < 기사본문 - 전기신문 (electimes.com) 지금 이 난리를 치고 있는데???? 여튼, 100kw 노지를 기준으로 한다면, 월단위 수익은 이정도 된다. 계산기가 필요하면, chat gpt를 이용하여, 태양광 수익 계산기 함 만들자(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FIT, 현물시장) (tistory.com) 위 링크 참조.
안녕하세요. 지식인답변받고....댓글남겨봅니다....ㅠㅠ태양광쪽에서 일하고계시는건가요?ㅠㅠ
답글삭제네, 그렇습니당 ^^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