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북마크 입니당 >

태양광으로 전기 울타리를 만들 수 있다.(펄스에너지와 주파수)

 전기는 눈에 보이지 않으니, 그 위험성을 알 수 없다.

가스나 다른 화석연료는 화려하게 폭발이나 하지,

전기는 그것마저도 없으니...


또한 전기는 우리 실생활에 아주 밀접 해 있다.

귀 옆에 항상 데고 있는 스파트폰도 전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블루투스 이어폰도 전기, 

배터리가 포함되어 있다.

(내 귀에 폭탄이 설치 되어 있다!!!!)


발전소 하면, 고압전기가 흐르기에 사람의 접근이 쉽지 않다는 인식이 높다.

그런 점에서 각 주택에 시설 된 태양광은,

발전소라 보지 않는 경향이 있던데,

그 태양광발전소에서 생산 된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울타리를 만들 수 있다.


물론 반드시 필요요소는 있다.

배터리.


안정적으로 전압을 공급해야 전자장치는 제 역할을 한다.

수소에너지의 종류 그리고 태양광(신재생에너지)과의 관계

그런 점에서 배터리는 필요하다.


전기울타리는 위험하지 않다.

주로 단순히 동물들을 내 쫓는 역할을 하기에 순간 고압으로 놀래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어떤 제품은 12v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끌어 다 쓴다.


12v가 고압이라니...


당연히 우리는 변압기를 사용하며,

고전압을 생성 해 내는데,

지속적으로 전류를 흘려보낸다면,

그 순간 충격 줘서 동물을 내쫓는다는 용도가 아니라, 

죽이겠다는 용도로 바뀐다.


그리하야 

우리는 펄스 변압기를 사용한다..


펄스란?

전기자기학\정전에너지[J]&체적당 에너지의 크기[J/M^3]

전력에다 시간 요소를 집어 넣은 개념이다.

즉,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얼마나 꽂아 넣었는가의 정도를 펄스에너지라 한다.

'일'이라는 개념에도 비유가 가능하다.

특정 시간 동안 한 일의 정도.


지속적으로 전력을 꽂아 넣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잠깐 전력을 꽂아 넣은 것이 펄스 변압기의 역할이다.

(커패시터도 필요하지만)


피부나 두꺼운 가죽은 뚫어야하니, 전압은 높이되, 전류의 양은 조절한다.

사람을 죽일 수 있는 전력의 양은

안 알라쥼.

(누굴 죽일라고.)


비슷한 개념은 테이저건이나 전기충격기다.

사실, 그런 장치는 사람을 살리기 위해 만든 장치다.

따끔만하지, 정신력(신체 전기에너지 컨트롤 능력)만 강하면,

별거 아니다.

그것으로 죽는다고 한다면, 규격 외의 조건 일 뿐이다.


전기의 장점 중 하나는,

필요한 에너지의 양의 조절이 쉽다는 것.



이 펄스에너지를 그림으로 그리면, 비슷한 개념이 떠오른다.

주파수!

근디, 펄스에너지는 일의 양을 뜻 한다면,

주파수는 전력이 왔다갔다 한 횟수를 뜻한다.


그림은 비슷 할지 모르겠는데,

개념 자체가 다르다.



간혹 전기울타리로 사망 사고 사건을 접하는데,

그거야, 에너지 조절 장치 하나도 없이 전원에 바로 울타리를 연결 하기 때문이다.

돈 좀 아껴 보겠다고,

어설프게 알고 있는 지식을 자랑하다 한번에 훅 가버리는 케이스다.


근디, 원래 차단기가 있어 사람이 안 죽는 것이 맞는데,

인간의 육체는 강하다가도 의외로 섬세한 구석이 있어.

책상을 탁 쳐도 죽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비슷한 예로 인체발화.

물론 고전압에다 전류를 무진장 때려박는다고 해서 무조건 다 die하는 것도 아니다.

특이체질이라는 것이 있는데,

애초에 전기울타리나 테이저건 같은 것은 누군가를 해하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다라는 것만 알면,

님도 태양광으로 훌륭한 전기울타리를 만들 수 있다.



댓글

7일동안 많은 클릭!!!

태양광 일조권은 '기대권'이 아니라, '현실권'이다. feat 건축법 일조권 개정

탁류~옛부터 중간 관리자와 그에 빌붙어 농락하는 넘들이 문제다.

UPS(무정전전원공급장치) 화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유행하는 프로그레스바(그로우링, 오라, 물채움) etc

재생에너지(태양광) 입찰제에 대한 회의(출력제어 제로화? 글쎄...)

태양광 시스템(수배전반) 켜고, 끄는 순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