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재생에너지(태양광) 입찰제에 대한 회의(출력제어 제로화? 글쎄...)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RPS제도가 없어지면? 당연히 REC도 사라지는 것이지. with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일전에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에 대해 언급 한 적이 있었다.
현재는 제주도에서만 시범 사업 중인데,
이것을 확대하여
내년에는 전국 시행 예정이다.
이 사업을 시행하여,
기존에 있었던 출력제어를 제로화에 성공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 것을 전국에 도입하여 대표적으로 태양광에 있어 출력제어를 줄이겠다는 의도이다.
전국에 있는 모든 발전소의 출력제어를 하지 않겠다고 하니,
대단한 정책이다.
하지만, 다음의 회의감도 있다.
1. 특정 지역 문제인데, 이것을 왜 전국으로 확대함?
현재 계통 포화 상태는 특정 지역에 태양광이 쏠림 현상 때문이다.
여기다 더불어 정책적 이유와 컨셉질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도 태양광 산단을 조성 중인데,
그에 반해 계통이 여유로운 곳은 또 여유롭다.
제주도야 섬 전체 계통 문제인데, 이것을 전국으로 반강제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문제다.
2. 기존의 전력 단가를 유지한체 시행한다면, 그나마
나쁘지는 않다.
근디, 제일 위 링크에서처럼,
출력제한에 우선순위가 부여되고,
도리어 전력 판매 단가가 떨어짐에 문제점의 시발점이 된다.
3. 의무는 3mw, 1mw는 선택, 미만은 집단 참여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시행방식은 세가지가 있다.
- 실시간
- 예비
- 하루전
하루전은 그나마 제약없이 참여가 가능하지만,
실시간과 예비는 기존의 태양광발전소에 몇가지 시스템상 기능을 더 넣어야 한다.
거진 중앙급전설비급으로 태양광을 운영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그리하야, 태양광 등을 기존의 일반발전기로 취급하여 그에 따른 보상체제를 구축하였는데,
이게 어쩌면, +요인이 아니라, 괜시리 세금을 받쳐야 하는 중간 기관만 더 생기는 것이 아닌지 문득 의문이 든다.
탁류~옛부터 중간 관리자와 그에 빌붙어 농락하는 넘들이 문제다.
4. 헤헤, 난 기준 용량 밑이라 출력제한 장치 없지롱~
최근에도 연락 갔다.
100kw든 300kw든
필요하면 한전에서 인버터나 수배전반 끄라고 연락간다.
(안전관리자만 귀찮게 됬지 뭐...)
5. 글쎄 그런 곳은 원래 출력제어가 있어왔으니까, 하면 되는데, 아닌 곳은 굳이...
단가만 떨어지고, 괜시리 우선순위 밀려, 안해도 되는 출력제어를 당하거나 해야 할 수도...
태양광 출력제한 방법 및 기준, 무조건 태양광은 발전사업이 좋다구요???
이해는 간다.
태양광이나 풍력을 싸질러는 놓고,
더 필요하다고 뻥을 치고 있는데,
그렇다고 더 늘리자니,계통에 부담이 되고,
궁여지책으로 해외에 있는 사례를 국내에 적용한 경우이다.
즉, 계륵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는 제대로 대응하지 못 했으면서,
아직 미래에 있는 AI 등 전기 수요에 있어, 미리 대응하는 면목하에
계속 늘리는 것인데,
시행방법과 형태가 잘 못 되었음을 단호히 말하고 싶다.
태양광이나 풍력 기술자체는 나쁘지 않다.
다만, 이것에 정치를 가미하는 것까지도 OK.
그런데, 싸질러 놓기만 하고 이것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괜시리 전기요금만 오르고,
dirty 재생에너지를 양성하는데는 회의적이다.
경기도, 자가용 재생에너지 판매시장 지원(과연 잘 될까?)
기술 표준화도 되어 있지 않아,
출력제어 장치 이거 달았다,
저거 달았다
그래서 종국에는 부담이 되니,
민간기업에다 출력제어를 던지기 하는 것이지...
ㅉ
출력제어를 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태양광이나 풍력 등 에너지가 포화 상태인 것을 말해주는 것 아닌가?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