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북마크 입니당 >

자동차 공조기 등 물리버튼이 따로 있는 것이 좋을까?

 일부 최신 차들을 보면,

물리버튼을 없애고, 디스플레이화면에 기능들을 넣는 일부 차들이 있다.


열 많이 받는 환경에서는 그닥 추천하지 않는 방법인 것은 누구나 알 것이다.

물론 원격 시동이라든지 방법은 있다.

블루링크, 문콕 CCTV에 탁월, 현대가 돈값을 하네... with 문콕 전자소송 방법 (xehostel.blogspot.com)

하지만, 항상 언제 출발 할 것을 예상하고 원격시동을 켜는 것도 아니고,

무더운 여름 날이나 겨울 날

전자장치에 이상이 발생할 여지는 충분하다.


막 탔는데,

디스플레이에서는 10초 기다리라 하고...

그때 물리버튼이 있으면, 바로 켤 수 있다.


또한 네비를 확대 할 때도,

두 손가락으로 확대하는 것보다는,

줌 아웃 버튼으로 하는 것이 아직 편하다.



왜 그 비싼 비행물체들이, 굳이 여러 버튼을 물리버튼으로 만든 것인지

보면, 알 수 있다.

자리를 많이 차지 하지 않으면, 물리 버튼이 있는 것이 더 낫다.


사실, 디스플레이에 기능들을 넣고 하는 것이...

원가 절감이지...


특히나 AI기능이 아주 뛰어난 차량은 논외로 치더라도,

그게 아니라면,

물리 버튼 유무와 위치는 중요하다.

댓글

7일동안 많은 클릭!!!

태양광 일조권은 '기대권'이 아니라, '현실권'이다. feat 건축법 일조권 개정

탁류~옛부터 중간 관리자와 그에 빌붙어 농락하는 넘들이 문제다.

UPS(무정전전원공급장치) 화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유행하는 프로그레스바(그로우링, 오라, 물채움) etc

재생에너지(태양광) 입찰제에 대한 회의(출력제어 제로화? 글쎄...)

태양광 시스템(수배전반) 켜고, 끄는 순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