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북마크 입니당 >

자동차 공조기 등 물리버튼이 따로 있는 것이 좋을까?

 일부 최신 차들을 보면,

물리버튼을 없애고, 디스플레이화면에 기능들을 넣는 일부 차들이 있다.


열 많이 받는 환경에서는 그닥 추천하지 않는 방법인 것은 누구나 알 것이다.

물론 원격 시동이라든지 방법은 있다.

블루링크, 문콕 CCTV에 탁월, 현대가 돈값을 하네... with 문콕 전자소송 방법 (xehostel.blogspot.com)

하지만, 항상 언제 출발 할 것을 예상하고 원격시동을 켜는 것도 아니고,

무더운 여름 날이나 겨울 날

전자장치에 이상이 발생할 여지는 충분하다.


막 탔는데,

디스플레이에서는 10초 기다리라 하고...

그때 물리버튼이 있으면, 바로 켤 수 있다.


또한 네비를 확대 할 때도,

두 손가락으로 확대하는 것보다는,

줌 아웃 버튼으로 하는 것이 아직 편하다.



왜 그 비싼 비행물체들이, 굳이 여러 버튼을 물리버튼으로 만든 것인지

보면, 알 수 있다.

자리를 많이 차지 하지 않으면, 물리 버튼이 있는 것이 더 낫다.


사실, 디스플레이에 기능들을 넣고 하는 것이...

원가 절감이지...


특히나 AI기능이 아주 뛰어난 차량은 논외로 치더라도,

그게 아니라면,

물리 버튼 유무와 위치는 중요하다.

댓글

7일동안 많은 클릭!!!

최유기~환상마전 최유기 시리즈 다시보기 순서

태양광 발전이 잘 되는 시간대를 피해야 돈을 번다 feat 출력제한

하이브리드 직병렬시스템, 시내에서 서킷 돌 것도 아니고...

구글브로거 opengraph 각 게시글 설명글 활성화 코드(seo 최적화)

태양광 표준시설부담금 쉽게 계산하는 방법 그리고 산출 근거(설계조정시설부담금 이야기)

자가소비용 태양광은 개발행위를 꼭 받아야하나요?